맨위로가기

심플리 레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플리 레드는 1985년 믹 허크넬을 중심으로 결성된 영국의 소울 팝 밴드이다. 1987년과 1990년 브릿 어워드에서 최우수 영국 그룹상을 수상했으며, 1991년에는 앨범 《Stars》로 유럽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10년 해체 후 2015년 재결성하여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2024년 스티브 르윈슨이 사망했다. 13장의 정규 앨범과 여러 컴필레이션 앨범을 발매했으며, 2010년과 1987년에 내한 공연을 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재즈 밴드 - 샤데이
    샤데이는 샤데 아두를 중심으로 1982년 런던에서 결성된 영국의 소울 밴드로, 재즈와 어덜트 컨템포러리 조화, 시원한 보컬이 특징이며, 다수의 그래미상 수상과 앨범 판매고를 기록하며 소울, 팝, 스무스 재즈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적 시도와 사회 참여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 영국의 재즈 밴드 - 자미로콰이
    1992년 데뷔한 영국의 밴드 자미로콰이는 제이 케이를 중심으로 애시드 재즈, 펑크, 디스코, 소울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 스타일, 혁신적인 뮤직비디오와 독특한 무대 스타일, 그리고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가사와 제이 케이의 화려한 머리 장식으로 특징지어진다.
  • 영국의 R&B 음악 그룹 - 샤데이
    샤데이는 샤데 아두를 중심으로 1982년 런던에서 결성된 영국의 소울 밴드로, 재즈와 어덜트 컨템포러리 조화, 시원한 보컬이 특징이며, 다수의 그래미상 수상과 앨범 판매고를 기록하며 소울, 팝, 스무스 재즈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적 시도와 사회 참여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 영국의 R&B 음악 그룹 - 애니멀스
    애니멀스는 에릭 버든의 보컬과 블루스 음악을 기반으로 "하우스 오브 더 라이징 선"과 같은 히트곡을 내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둔 1960년대 영국 록 밴드이다.
  • 2015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소녀대
    소녀대는 1983년 결성되어 1989년 해체된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으로, 아시아 시장 공략과 서울 올림픽 이미지송 발표 등을 통해 활동했으며, 해체 후 재결성되기도 했다.
  • 2015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
    1988년 결성된 미국의 힙합 그룹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는 Q-Tip, Phife Dawg, Ali Shaheed Muhammad, Jarobi White로 구성되어 재즈 기반의 독창적인 음악과 사회적 메시지로 1990년대 힙합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롤링 스톤 500대 명반에 선정되고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등 음악적 업적을 남겼다.
심플리 레드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믹 허크널 노래
리드 싱어 믹 허크널
결성지맨체스터, 잉글랜드
장르
소울
블루 아이드 소울
소피스티-팝
활동 기간1985년–2010년
2015년–현재
레이블엘렉트라
이스트 웨스트
Simplyred.com
웹사이트심플리 레드 공식 웹사이트
현재 구성원믹 허크널
이언 커크햄
겐지 스즈키
케빈 로빈슨
로만 로스
게리 생추어리
오레포 오라크웨
이전 구성원하단 참조
구성원
과거 구성원프리츠 매킨타이어
팀 켈레트
토니 바워스
크리스 조이스
데이비드 프라이먼
실뱅 리처드슨
아지즈 이브라힘
헤이터 페레이라
야시키 고타
숀 워드
디 존슨
베르로이 베일리
사라 브라운
팀 바인
존 존슨
크리스 데 마갈리
콜린 그레이엄
마크 제임스
웨인 스토바드
앤디 라이트
데이브 클레이턴
피트 루윈슨

2. 역사

심플리 레드는 1985년 잉글랜드 맨체스터에서 결성된 영국의 소울, 밴드이다. 밴드는 리드 보컬인 믹 허크넬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밴드명은 허크넬의 별명인 "레드"(빨강)와 그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팬심에서 유래했다.

1985년 초, 허크넬은 매니저 엘리엇 래시먼과 함께 지역 세션 음악가들을 모아 밴드를 결성했다. 초기 라인업은 믹 허크넬(보컬), 데이비드 프라이먼(기타), 토니 바워스(베이스), 프리츠 매킨타이어(키보드 및 보컬), 팀 켈렛(브라스 및 라이브 백킹 보컬), 크리스 조이스(드럼)로 구성되었다.[8]

1985년 일렉트라 레코드와 계약하고 데뷔 싱글 "머니스 투 타이트(투 멘션)(Money's Too Tight (to Mention)"를 발매했다. 이 곡은 더 발렌타인 브라더스(The Valentine Brothers)의 곡을 리메이크한 것으로,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20위권,[8] 미국, 프랑스, 네덜란드에서 30위권, 이탈리아에서 5위권 안에 들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같은 해 데뷔 앨범 ''Picture Book''을 발매했다.[8]

1986년에는 프랜틱 엘리베이터스 시절 곡을 재해석한 "홀딩 백 더 이어스(Holding Back the Years)"를 발매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1987년에는 두 번째 앨범 ''Men and Women''을[8] 발매했다.

1991년 앨범 《스타즈》(Stars)로 밴드의 인기는 정점을 찍었다. 1995년에는 댄스 음악의 영향을 받은 싱글 "페어그라운드"(Fairground)를 발표해 영국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했다.

1996년 이후 심플리 레드는 허크넬과 여러 뮤지션들의 프로젝트 밴드처럼 운영되었지만, 색소폰 연주자 이안 커크햄은 계속 참여했다. 이스트 웨스트 레코드는 1996년 편집 앨범 《Greatest Hits》를 발매했다. 1998년에는 커버 곡 위주의 앨범 《Blue》, 1999년에는 《Love and the Russian Winter》를 발매했다.

심플리 레드는 2000년 이스트 웨스트 레코드와 결별하고, 2003년에는 앨범 ''Home''을 발매했다. 2005년에는 ''Simplified''를, 2007년에는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 ''Stay''를 발매했다.

2009년 믹 허크넬은 2010년까지 고별 투어를 진행하고 심플리 레드를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4] 2010년 12월 19일 런던 O2 아레나에서 마지막 콘서트가 열렸다.[15]

2014년 심플리 레드는 30주년 기념 투어를 위해 재결성한다고 발표했다.[16] 2015년 새 앨범 ''빅 러브''를 발매했다.[18] 2016년에는 앨범 스타즈 발매 25주년 기념 투어를 진행했다.

2. 1. 결성 이전 (1976-1984)

1976년 섹스 피스톨스가 맨체스터의 프리 트레이드 홀에서 개최한 라이브에 훗날 조이 디비전, 더 스미스, 버즈콕스 등의 밴드를 결성하는 멤버들과 함께, 당시 맨체스터에서 미술을 공부하던 학생 믹 허크넬이 있었다. 믹 허크넬은 섹스 피스톨스의 라이브에 충격을 받아 펑크 록 밴드인 프랜틱 엘리베이터스를 결성했다. 프랜틱 엘리베이터스는 7년 동안 활동하며 지역 레이블에서 한정판 음반을 발표했고, 마지막 싱글 "Holding Back the Years"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나 1984년에 해체되었다.[8]

2. 2. 결성 및 초기 (1985-1988)

심플리 레드는 1976년 섹스 피스톨스의 맨체스터 프리 트레이드 홀 공연에 감명받은 믹 허크널이 결성한 밴드 프랜틱 엘리베이터스(The Frantic Elevators)에서 시작되었다. 프랜틱 엘리베이터스는 1984년 해체되었지만, 허크널은 매니저 엘리엇 래시먼과 함께 새로운 밴드를 구상했다.

1985년 초, 허크널과 래시먼은 지역 세션 음악가들을 모아 밴드를 결성했다. 이들은 "월드 서비스", "레드 앤 더 댄싱 데드", "저스트 레드" 등 여러 이름으로 활동하다가, 허크널의 별명 "레드"와 그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팬심을 담아 "심플리 레드"라는 이름을 확정했다.[9][10]

초기 라인업은 믹 허크널(보컬), 데이비드 프라이먼(기타), 토니 바워스(베이스), 프리츠 매킨타이어(키보드 및 보컬), 팀 켈렛(브라스 및 라이브 백킹 보컬), 크리스 조이스(드럼)로 구성되었다.[8] 바워스와 조이스는 포스트 펑크 밴드 두루티 칼럼(The Durutti Column)과 더 모스멘(The Mothmen) 출신이었고, 켈렛도 두루티 칼럼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었다.

심플리 레드는 1985년 일렉트라와 계약하고,[8] 데뷔 싱글 "머니스 투 타이트(투 멘션)(Money's Too Tight (to Mention)"를 발매했다. 이 곡은 더 발렌타인 브라더스(The Valentine Brothers)의 곡을 리메이크한 것으로,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20위권,[8] 미국, 프랑스, 네덜란드에서 30위권, 이탈리아에서 5위권 안에 들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데뷔 앨범 ''Picture Book''도 같은 해 발매되었다.[8]

1986년에는 프랜틱 엘리베이터스 시절 곡을 재해석한 "홀딩 백 더 이어스(Holding Back the Years)"를 발매하여 아일랜드 1위, 영국 2위, 네덜란드 3위, 이탈리아 20위, 미국 1위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1987년에는 두 번째 앨범 ''Men and Women''을[8] 발매하며 블루 아이드 소울 사운드에 펑크를 접목한 음악을 선보였다. 리드 싱글 "The Right Thing"은[8] 유럽과 북미에서 40위권 안에 진입하며 인기를 이어갔다.

이후 기타리스트 실번 리처드슨이 탈퇴하고 에이토르 페레이라(Heitor Pereira)가 합류했으며, 색소폰 연주자 이언 커크햄(Ian Kirkham)이 정식 멤버가 되었다.

2. 3. 전성기 (1989-1995)

1991년에 발표된 앨범 《스타즈》(Stars)로 밴드의 인기는 정점을 찍었다. 《스타즈》는 미국에서는 이전 앨범만큼 성공하지 못했지만, 유럽과 영국에서는 2년 동안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 되었다. 타이틀곡 "스타즈"(Stars)는 허크넬이 반대처리즘 정치적 가사를 라운지 재즈에 담아 과거의 팬층을 붙잡아두려는 의도로 만들어졌다. 이 곡은 1995년 영화 《잭 앤 사라》(''Jack and Sarah'')의 사운드트랙으로도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도 이 곡은 스바루 임프레자의 CM송으로 사용되었다.

1995년에는 댄스 음악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싱글 "페어그라운드"("Fairground")를 발표했는데, 이 곡은 라디오에서 큰 히트를 기록하며 밴드에게 첫 번째 영국 싱글 차트 1위를 안겨주었다. "페어그라운드"가 수록된 앨범 《라이프》는 영국에서만 장 이상 판매되었고, 그 해 앨범 판매량 4위를 기록했다.

2. 4. 밴드 재편기 (1996-2002)

프리츠 매킨타이어는 허크넬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남은 오리지널 밴드 멤버였으나, 《Life》 앨범 이후 밴드를 떠났고, 헤이토르 페레이라도 마찬가지였다. 1996년 이후부터 심플리 레드는 허크넬과 필요에 따라 트랙별(그리고 공연별)로 달라지는 여러 뮤지션들의 일종의 상표가 되었지만, 1996년 이후의 모든 심플리 레드 앨범과 라이브 쇼에는 색소폰 연주자 이안 커크햄이 참여했다. 드러머 고타 야시키(여러 앨범 트랙 공동 프로듀싱)와 백 보컬리스트 디 존슨, 사라 브라운도 밴드의 후기 레코딩과 쇼에 자주 참여했으며, 새로운 키보디스트/공동 프로듀서인 앤디 라이트도 참여했다.

이스트 웨스트 레코드는 1996년, 허크넬의 바람과는 다르게, 편집 앨범 《Greatest Hits》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1973년 아레사 프랭클린의 히트곡 "Angel"의 커버 곡이 새로운 트랙으로 포함되었으며, 이 곡은 더 퓨지스와 공동 프로듀싱되었다(더 퓨지스는 백 밴드 역할도 했다). 싱글로 발매된 "Angel"은 영국에서 4위에 올랐다.

1998년에는 커버 버전 위주의 앨범 《Blue》가 발매되었으며, 이 앨범은 4개의 영국 40위 싱글을 배출했는데, 여기에는 10위 안에 든 히트곡 "Say You Love Me"과 "The Air That I Breathe"가 포함되었다. 1999년의 후속 앨범 《Love and the Russian Winter》는 상대적으로 실망스러운 성적을 거두며 10위 안에 들지 못한 두 개의 소규모 히트곡을 낳았다.

심플리 레드는 2000년 4월에 이스트 웨스트 레코드와의 전문적인 관계를 종료했다.[11] [12] 믹 허크넬은 인터뷰를 통해 이것이 그와 밴드의 결정이었으며, 당시 언론 보도와 달리 심플리 레드는 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허크넬은 이후 새로운 레코딩을 처리하기 위해 웹사이트 Simplyred.com을 설립했다. 이 새로운 레이블/웹사이트 사업은 상당히 성공적이었으며, 밴드의 Simplyred.com 발매작 중 다수가 이전 레코딩만큼이나 잘 팔리고 차트에 올랐다.

2. 5. 후기 및 해체 (2003-2010)

2003년 3월 24일, 심플리 레드는 오리지널 곡과 커버 곡을 함께 수록한 앨범 ''Home''을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The Stylistics의 "You Make Me Feel Brand New"를 리메이크한 곡이 포함되어 영국 차트 7위에 올랐다. ''Home''은 영국에서 더블 플래티넘, 캐나다에서 골드, 유럽에서 플래티넘을 기록했으며, "Sunrise"(영국 7위)와 "Fake"(영국 21위) 두 개의 히트 싱글을 배출했다.

2005년 10월 13일에는 기존 히트곡들을 단순화한 버전으로 구성한 앨범 ''Simplified''를 발매했다. 싱글 "Perfect Love"는 영국 차트 30위에 올랐으며, 이는 밴드의 마지막 30위권 진입 곡이 되었다.

2007년 3월 12일, 밴드는 열 번째이자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 ''Stay''를 발매했다. 2007년 3월 5일에 발매된 싱글 "So Not Over You"는 영국에서 34위를 기록했고, 후속 싱글 "Stay"(2007년 5월 28일 발매)는 영국에서 36위를 기록하며 밴드의 마지막 영국 100위권 진입 곡이 되었다.

2008년 5월 19일, 믹 허크넬은 첫 번째 솔로 앨범 ''Tribute to Bobby''를 발매했다.[13] 솔로 앨범의 백업 뮤지션들은 심플리 레드로 함께 작업해온 뮤지션들과 거의 동일했다.

믹 허크넬은 2009년 초부터 2010년까지 고별 투어를 진행한 후 심플리 레드의 이름을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4] 그는 "25년이면 충분하다고 결정했습니다. 그래서 2009년이 마지막 심플리 레드 투어가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심플리 레드의 마지막 콘서트는 2010년 12월 19일 런던 O2 아레나에서 열렸으며, 영국 전역의 영화관에서 생중계되었다.[15]

해체 당시 밴드 멤버는 다음과 같았다.

멤버역할
믹 허크넬리드 보컬
이안 커크햄색소폰/EWI/키보드
데이브 클레이턴키보드
스즈키 겐지기타
케빈 로빈슨트럼펫/플루겔호른/퍼커션
스티브 르윈슨베이스 기타
피트 르윈슨드럼



이들은 밴드가 발표한 마지막 세 장의 스튜디오 앨범에 참여했다.

2. 6. 재결성 (2015-현재)

2014년 11월 3일, 심플리 레드는 2015년 가을 30주년 기념 유럽 투어인 "빅 러브 투어 2015"를 위해 재결성한다고 발표했다.[16] 이 투어는 2015년 10월 20일 덴마크 오덴세에서 시작되어 2016년 "빅 러브 투어 2016"으로 이어졌으며, 2016년 8월 26일 스위스 아르본의 섬머데이즈 페스티벌에서 종료되었다. 이후 2016년 9월 10일 독일 뮌헨의 BMW 페스티벌 나이트에서 마지막 공연을 가졌다.[17] 재결성 투어 라인업은 드러머가 피트 르윈슨에서 로만 로스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이전과 같았다.

2015년 4월 19일, 밴드는 12개의 새로운 트랙을 담은 새 스튜디오 앨범 ''빅 러브''를 발매한다고 발표했다.[18] 이 앨범은 2015년 5월 29일에 발매되었다.

2016년 11월 11일, 심플리 레드는 1991년 9월에 발매된 Stars 25주년 기념 "25 Years of Stars Live" 투어를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시작했다. 이 투어에서는 앨범 전체 트랙을 오리지널 순서대로 라이브로 연주했으며, 공연 후반부에는 심플리 레드의 히트곡과 클래식 곡들을 선보였다. 아일랜드 공연 이후, 11월 13일 영국 리버풀에서 시작하여 11월 27일 런던 O2 아레나에서 마무리되는 영국 투어 10개 도시 공연이 이어졌다.

2017년에는 연례 행사 "심포니카 인 로소"에서 10월 25일, 26일, 28일에 헤드라이너로 공연한다고 발표했다. 이 콘서트의 라이브 앨범 ''Symphonica in Rosso – Live at Ziggo Dome, Amsterdam''은 2018년 11월 23일에 발매되었으며, 영국 앨범 차트에서 최고 58위를 기록했다.

3. 구성원

심플리 레드는 1985년 결성된 영국의 소울 및 팝 밴드이다. 밴드는 여러 구성원의 변화를 겪었으며, 2010년에 한 차례 해체되었다가 2015년에 재결성되었다. 밴드의 구성원은 '현재 구성원'과 '이전 구성원'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현재 구성원

다음은 2015년 재결성 이후 현재까지 활동 중인 심플리 레드의 구성원이다.

멤버악기활동 기간
믹 허크넬리드 보컬, 기타1985년 ~ 2010년, 2015년 ~ 현재
이언 커크햄색소폰, 키보드1986년 ~ 2010년, 2015년 ~ 현재
케빈 로빈슨트럼펫, 퍼커션, 백 보컬1999년 ~ 2010년, 2015년 ~ 현재
켄지 스즈키기타, 백 보컬1998년 ~ 2010년, 2015년 ~ 현재
데이브 클레이튼[28]키보드, 백 보컬2003년 ~ 2010년, 2015년 ~ 2022년
스티브 르윈슨[32]베이스, 백 보컬2003년 ~ 2010년, 2015년 ~ 2024년
로만 로스드럼, 백 보컬2015년 ~ 현재
게리 생츄어리키보드2023년 ~ 현재
오레포 오라퀘베이스2024년 ~ 현재


참고:


  • 데이브 클레이튼은 2022년 가족과의 시간을 위해 밴드를 떠났으며,[28] 2023년 게리 생츄어리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31]
  • 스티브 르윈슨은 2024년 12월 17일 사망했으며,[32] 2024년부터는 오레포 오라퀘가 베이스를 담당한다.

3. 2. 이전 구성원

다음은 밴드 결성 초기부터 2010년 해체까지 활동했던 멤버들이다.

이름포지션활동 기간
믹 허크널리드 보컬, 기타1985년 1월 1일 ~ 2010년 12월 31일, 2015년 1월 1일 ~ 현재
이언 커크햄색소폰, 키보드1986년 1월 1일 ~ 2010년 12월 31일, 2015년 1월 1일 ~ 현재
크리스 드 마거리색소폰1998년 1월 1일 ~ 2008년 12월 31일
팀 켈렛트럼펫, 키보드, 백 보컬1985년 1월 1일 ~ 1994년 1월 1일
콜린 그래험트럼펫1998년 1월 1일 ~ 1998년 12월 31일
케빈 로빈슨트럼펫, 퍼커션, 백 보컬1999년 1월 1일 ~ 2010년 12월 31일, 2015년 1월 1일 ~ 현재
존 존슨트롬본, 퍼커션1998년 1월 1일 ~ 2008년 12월 31일
데이비드 프라이먼기타1985년 1월 1일 ~ 1985년 4월 30일
실반 리처드슨기타1985년 5월 1일 ~ 1987년 12월 31일
아지즈 이브라힘기타1988년 1월 1일 ~ 1988년 6월 30일
에이토르 페레이라기타1988년 7월 1일 ~ 1996년 7월 31일
마크 제임스기타1998년 1월 1일 ~ 2003년 1월 1일
켄지 스즈키기타, 백 보컬1998년 1월 1일 ~ 2010년 12월 31일, 2015년 1월 1일 ~ 현재
프리츠 매킨타이어키보드, 백 보컬1985년 1월 1일 ~ 1996년 7월 31일
팀 바인키보드1996년 8월 1일 ~ 1999년 12월 1일
앤디 라이트키보드1998년 1월 1일 ~ 2002년 12월 31일
데이브 클레이턴키보드, 백 보컬2003년 1월 1일 ~ 2010년 12월 31일, 2015년 1월 1일 ~ 현재
토니 바워스베이스1985년 1월 1일 ~ 1991년 1월 1일
숀 워드베이스, 백 보컬1991년 1월 1일 ~ 1994년 12월 31일
웨인 스토바트베이스1998년 1월 1일 ~ 2003년 1월 1일
스티브 레윈슨베이스, 백 보컬1995년 1월 1일 ~ 1998년 1월 1일, 2003년 1월 1일 ~ 2010년 12월 31일, 2015년 1월 1일 ~ 현재
크리스 조이스드럼, 퍼커션1985년 1월 1일 ~ 1991년 1월 1일
고타 야시키드럼, 퍼커션1991년 1월 1일 ~ 1995년 1월 1일, 1998년 1월 1일 ~ 2003년 1월 1일
벨로이 베일리드럼1995년 1월 1일 ~ 1998년 1월 1일
피트 르윈슨드럼2003년 1월 1일 ~ 2010년 12월 31일
로만 로스드럼, 백 보컬2015년 1월 1일 ~ 현재
디 존슨백 보컬1992년 1월 1일 ~ 2008년 12월 31일
사라 브라운백 보컬1996년 1월 1일 ~ 2008년 12월 31일


3. 3. 타임라인

이름활동 연도악기발매 기여도
믹 허크넬1985–2010, 2015–현재모든 발매
이안 커크햄1986–2010, 2015–현재Picture Book(1985)를 제외한 모든 발매
켄지 스즈키1998–2010, 2015–현재Blue(1998)부터 모든 발매
케빈 로빈슨1999–2010, 2015–현재Love and the Russian Winter(1999)부터 모든 발매
로만 로스2015–현재Big Love(2015)부터 모든 발매
게리 생츄어리2023–현재키보드Time(2023) (보너스 트랙만)
오레포 오라크웨2024–현재베이스
프리츠 맥킨타이어1985–1996Picture Book(1985)부터 Life(1995)까지 모든 발매
팀 켈렛1985–1993Picture Book(1985)부터 The Montreux EP(1992)까지 모든 발매
토니 바우어스1985–1991베이스
크리스 조이스1985–1991
데이비드 프라이먼1985기타
실반 리차드슨1985–1987기타
아지즈 이브라힘1987–1988기타
헤이토르 페레이라1988–1996기타A New Flame(1989)부터 Life(1995)까지 모든 발매
고타 야시키
숀 워드1991–1994
디 존슨1991–2008백 보컬Life(1995)부터 Stay(2007)까지 모든 발매
스티브 르윈슨
벨로이 베일리1995–1998드럼Blue(1998)
사라 브라운1995–2008백 보컬Blue(1998)부터 Stay(2007)까지 모든 발매
팀 바인1998–2002키보드
존 존슨1998–2008Blue(1998)부터 Stay(2007)까지 모든 발매
크리스 드 마가리1998–2008
콜린 그레이엄1998트럼펫
마크 자임스1998–2003기타
웨인 스토바트1998–2002베이스Love and the Russian Winter(1999)
앤디 라이트1998–2003
데이브 클레이튼Home(2003)부터 Time(2023)까지 모든 발매
피트 르윈슨2003–2010드럼Home(2003)부터 Big Love(2015)까지 모든 발매


4. 음악 스타일

심플리 레드는 데뷔 초부터 2010년 해체, 그리고 2015년 재결성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 밴드의 음악 스타일은 시기에 따라 변화를 겪었으며, 여러 장르의 영향을 받아 다채로운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시기주요 멤버 및 악기
1985년 ~ 1990년대 초반믹 허크넬(리드 보컬, 기타), 팀 켈레트(트럼펫, 키보드, 백 보컬), 토니 바우어스(베이스), 크리스 조이스(드럼, 퍼커션)
1990년대 중후반믹 허크넬, 프리츠 맥킨타이어(키보드, 백 보컬), 이안 커크햄(색소폰, 키보드)
1998년 ~ 2010년믹 허크넬, 이안 커크햄 외 다양한 멤버 변동
2015년 ~ 현재믹 허크넬, 이안 커크햄(색소폰, 키보드), 켄지 스즈키(기타, 백 보컬), 케빈 로빈슨(트럼펫, 퍼커션, 백 보컬), 스티브 르윈슨(베이스, 백 보컬), 로만 로스(드럼, 백 보컬)

[1]

4. 1. 초기 스타일

심플리 레드는 1985년 결성 당시 펑크 록과 블루 아이드 소울의 영향을 받은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

4. 2. 전성기 스타일

심플리 레드는 , 소울, 재즈 요소를 융합한 음악 스타일로 전성기를 구가했다.

4. 3. 후기 스타일

심플리 레드는 1990년대 후반부터 다양한 장르를 시도하며 보다 성숙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 이 시기에는 믹 허크넬을 중심으로 밴드 멤버들의 변화가 잦았지만, 꾸준히 새로운 음악적 시도를 이어갔다.

1998년에는 콜린 그레이엄(트럼펫), 존 존슨(트롬본, 퍼커션), 마크 제임스(기타), 켄지 스즈키(기타, 백 보컬), 앤디 라이트(키보드), 웨인 스토바트(베이스) 등이 새롭게 합류하여 밴드의 사운드에 변화를 주었다.[1] 1999년에는 케빈 로빈슨(트럼펫, 퍼커션, 백 보컬)이 합류하였다.[1]

2003년에는 데이브 클레이턴(키보드, 백 보컬)과 피트 르윈슨(드럼)이 합류하여 2010년까지 활동했다.[1] 이들은 2015년 재결성 이후에도 밴드의 핵심 멤버로 활동하며 심플리 레드의 음악적 성숙에 기여했다.[1]

2015년 재결성 이후에는 로만 로스(드럼, 백 보컬)와 켄지 스즈키(기타, 백 보컬), 케빈 로빈슨(트럼펫, 퍼커션, 백 보컬), 데이브 클레이턴(키보드, 백 보컬), 스티브 르윈슨(베이스, 백 보컬) 등이 믹 허크넬, 이안 커크햄과 함께 활동하고 있다.[1] 2024년 12월 17일에는 오레포 오라크웨(베이스)가 새롭게 합류했다.[1]

5. 한국과의 관계

주어진 원본 자료에 심플리 레드의 한국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5. 1. 내한 공연

주어진 자료에 따르면, 심플리 레드는 1987년과 2010년에 내한 공연을 하지 않았다. 심플리 레드는 1987년 7월 31일과 8월 1일에 도쿄 후생 연금 회관, 8월 3일에 오사카 후생 연금 회관, 8월 4일에 아이치 문화 강당, 8월 6일에 나카노 선 플라자에서 공연했으며, 2010년 9월 25일에는 도쿄 국제 포럼 홀 A에서 공연했다.

6. 수상 경력

심플리 레드는 수상 경력이 없다.

7. 음반 목록

심플리 레드는 정규 앨범과 컴필레이션 앨범을 포함한 다양한 음반을 발매했다. 자세한 내용은 심플리 레드의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1. 정규 앨범

연도제목영국미국독일프랑스BPIRIAA
1985Picture Book2168-5x 플래티넘플래티넘
1987Men and Women2313-3x 플래티넘-
1989A New Flame122227x 플래티넘골드
1991Stars1766412x 플래티넘골드
1995Life1751-5x 플래티넘-
1998Blue11451212x 플래티넘-
1999Love and the Russian Winter5-257플래티넘-
2000'Love Songs Collection''13-35-골드-
2003Home2187582x 플래티넘-
2005Simplified3-464골드-
2007Stay4-458골드-
2008Stars (컬렉터스 에디션)31-----
2015Big Love4-1226골드-
2019Blue Eyed Soul6-5711--
2019Time8-983--


7. 2. 컴필레이션 앨범

심플리 레드의 컴필레이션 앨범
연도제목BPI
1996그레이티스트 히츠11162-6x 플래티넘
2000러브 송 컬렉션27-35-골드
2003베리 베스트 오브 심플리 레드--36--
2008심플리 레드 25: 더 그레이티스트 히츠9-17--
2010송스 오브 러브12-86--
2013송 북 1985–201041---골드
2021Remixed Vol. 1 (1985–2000)-----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2] 웹사이트 Pop/Rock » Punk/New Wave » Sophisti-Pop http://www.allmusic.[...] AllMusic. All Media Network 2016-04-28
[3] 웹사이트 Simply Red discography - RYM/Sonemic https://rateyourmusi[...] 2023-09-25
[4] 뉴스 Simply Red: Splitting up is never easy https://www.telegrap[...] 2007-10-26
[5] 웹사이트 Top 40 Best Selling Albums: 28 July 1956 – 14 June 2009 http://www.bpi.co.uk[...] Official Charts Company 2011-07-26
[6] 웹사이트 Simply Red: BRITs Profile http://www.brits.co.[...] Brit Awards 2012-11-21
[7] 웹사이트 Simply Red to reunite for 30th anniversary tour https://www.bbc.co.u[...] BBC 2017-03-25
[8] 서적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Virgin Books 1997
[9] 웹사이트 Simply Red | Mick Hucknall FAQ http://www.simplyred[...] 2019-09-27
[10] 웹사이트 20 Fun Facts About Simply Red And Mick Hucknall https://www.buzzfeed[...] 2015-03-20
[11] 웹사이트 Simply Red Singer Attacks Music Industry http://hub.contactmu[...] 2003-03-25
[12] Youtube SIMPLY RED · HOME PERFORMANCES AND INTERVIEWS https://www.youtube.[...] 2024-06-09
[13] 웹사이트 BBC music review of Tribute to Bobby https://www.bbc.co.u[...] 2008-05-20
[14] 뉴스 Simply Red splitting up after 25 years http://entertainment[...] Times Online 2007-10-24
[15] 웹사이트 Mick Hucknall – Simply Red – Official Site » Cinema tickets now on sale for 19th December http://www.simplyred[...] Simplyred.com 2010-12-01
[16] 웹사이트 Simply Red announce 30th anniversary tour http://www.digitalsp[...] Digital Spy 2014-11-03
[17] 웹사이트 Tour dates http://www.simplyred[...] 2016
[18] 웹사이트 Simply Red to release new album Big Love http://www.entertain[...] Entertainment Focus 2015-04-20
[19] 웹사이트 Buy Tickets To Simply Red '25 Years Of Stars' Live! – Don't miss the chance to see Simply Red perform their classic album 'Stars' plus more this November! http://www.heart.co.[...] 2016-09-29
[20] 웹사이트 Simply Red | Symphonica In Rosso - Third Date Added http://www.simplyred[...] 2019-09-27
[21] 웹사이트 Symphonica In Rosso CD & DVD https://simplyredsho[...] 2023-03-04
[22] 웹사이트 Simply Red https://www.official[...] 2023-03-04
[23] 웹사이트 Simply Red - Blue Eyed Soul Official Online Store : Merch, Music, Downloads & Clothing https://simplyred.tm[...]
[24] 뉴스 Charts analysis: The Script score fifth No.1 album https://www.musicwee[...] Intent Media 2019-11-15
[25] 웹사이트 Simply Red's 2020 Tour is Rescheduled http://www.simplyred[...] 2023-03-04
[26] 웹사이트 Simply Red Remixed Vol. 1 (1985-2000) [2CD] https://simplyredsho[...] 2023-03-04
[27] 웹사이트 Earth In A Lonely Space http://www.simplyred[...] 2023-03-04
[28] 웹사이트 New album Time http://www.simplyred[...] 2023-03-04
[29] 웹사이트 New song Shades 22 http://www.simplyred[...] 2023-04-27
[30] 웹사이트 SIMPLY RED RELEASE NEW SINGLE 'JUST LIKE YOU' https://www.totalnte[...] 2023-04-27
[31] 웹사이트 SIMPLY RED ANNOUNCE INTIMATE LONDON SHOW https://www.thisisdi[...] 2023-04-11
[32] 웹사이트 Steve Lewsinson cause of death: What did the Simply Red bass guitarist Steve Lewsinson die of at 60? https://www.marca.co[...] 2024-12-18
[33] 웹사이트 Billboard https://worldradiohi[...] 1987-06-06
[34] 웹사이트 Billboard https://worldradiohi[...] 1988-06-04
[35] 웹사이트 Music and Media https://worldradiohi[...] 1989-12-23
[36] 웹사이트 Simply Red splitting up after 25 years http://entertainment[...] タイムズ 2007-10-24
[37] 웹사이트 BBC music review of Tribute to Bobby http://www.bbc.co.uk[...] 2008-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